본문 바로가기
지난순간의기억/2025년~

[철도의변화] 교외선 여객열차 운행재개 (2025.01)

by wMiraew 2025. 3. 1.

누가 알았을까, 교외선이 다시 달릴지. (자료사진=2014년 교외선 장흥역)

2025년 1월 11일, 약 11년 만에 교외선 여객열차가 운행을 재개했습니다.

교외선은 지난 2004년 4월 1일, 통일호 폐지와 함께 여객열차 계통이 사라진 바 있습니다.
그 이후에도 화물열차(주로 군용)나 시운전열차가 간혹 운행되고는 했지만

그 빈도가 극히 적어 사실상 폐선이나 다름없던 상태였습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경기도 고양시청에서 교외선상의 벽제터널을 사진 명소로 소개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은 적이 있었지요.

교외선은 전용 열차로 배정된 무선제어 입환기관차의 무선국 인증이 늦어지는 등

여러 악조건 속에 당초의 절반 수준인 일 8회로 개통했습니다.

 

 


경원선 의정부역사 출입구

개통 다음 날, 경원선 의정부역.
1월 초의 쌀쌀한 칼바람을 맞으며 경원선을 따라 올라왔습니다.

 

 

 

 

의정부역전 풍경
의정부역을 출발한 의정부경전철 전동차

[철도영상] 의정부시청 앞에서 교행하는 의정부경전철 전동열차 (2025.01.12)

의정부 쪽은 도통 올 기회가 없어 방문 횟수를 두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렇지만 그 날도 의정부경전철은 바삐 콘크리트 궤도 위를 달려나가고 있었습니다.

 

 

 

민자역사 난간에 걸린 운행재개 현수막

의정부 민자역사 난간에는 교외선 운행재개를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습니다.
시운전을 꼭 보려고 했는데 현생(現生)에 밀려 2순위로 떨어진 영향이 있어서 그런지 더욱 실감이 납니다.

 

 

 

의정부역 교외선 방향 통로 전경. 통일호 시대에는 유인개찰구가 있던 자리다.

의정부역은 운행계통 하나가 늘어난 것 치고는 소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우선 역사 내 모든 사인물에 교외선이 추가되었고 바닥에도 안내표지가 새로 붙었습니다.
그리고 전동열차용 LED 열차행선안내기 가운데에 신형 LCD 열차행선안내기가 설치되었습니다.

 

 

 

의정부역의 교외선용 열차행선안내기

동해선 포항~영덕 구간의 것 처럼 디자인이 가미된 줄 알았는데 그냥 텍스트만 출력되고 있었습니다.
다른 역들처럼 열차출발안내가 표시되는지는 보지 못했습니다.

일 4편(왕복 총 8편)에 불과해서 그런지 한 화면에 전 열차의 열차번호와 출발시간을 표시했네요.

 

 

 

개통 당시 교외선 열차 시간표 (왼쪽)

교외선 열차 시간표는 운임정산기, 개찰구, 연결통로 등 역사 곳곳에 붙어있었습니다.
2월 3일자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과 휴일에 운행하는 열차가 달라져 또 바뀌어있겠네요.

 

 

 

교외선 타는 곳 방향 이정표

2004년 당시 여객영업을 하던 모든 역들이 부활한 것은 아니고, 일부 역만 취급을 재개했습니다.


읍·시가지나 장흥유원지에 인접해있거나, 시종착역 기능을 하는

대곡, 원릉, 일영, 장흥, 송추, 의정부만 다시 여객을 받을 수 있었고

나머지 대정, 삼릉, 벽제, 온릉은 그러지 못했습니다.

 
교외선 역명코드 및 (일반)여객취급 여부 (2025.02 기준)
역명
국철 역명코드
여객취급
비고
능곡
0391

(전철만)
과거 DMZ-Train 정차역
대곡
0392
승강장 신설
대정
0418
X
무배치간이역. 현재 진입로 차단
원릉
0419
승강장 개량
삼릉
0420
X
무배치간이역. 현재 진입로 차단
벽제
0421
X
무배치간이역. 현재 진입로 차단
일영
0422
승강장 리모델링 및 개량
장흥
0423
승강장 개량
온릉
0424
X
임시승강장
송추
0425
승강장 개량
의정부
0264
승강장 리모델링
과거 DMZ-Train 정차역

 

 

 

의정부역의 승차권 자동발매기

무궁화호가 운행되는 까닦에 자연스래 MS승차권용 자동발매기가 설치되었습니다.
행선지 기본값은 당연히 교외선이지만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등 승차권을 발권할 수 있죠.

다만 승차권 용지는 재고 물량을 받았는지 "letskorail.com"도, "korail.com"도 아니였습니다.
물론 앞면에는 유효한 내용이 인쇄되고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 없지만… 제 입장에서는 오히려 좋았습니다.

 

 

 

폐쇄된 5, 6번 승강장 방향 출입구

교외선 승강장 방향 출입구는 폐쇄되어 있었습니다.

안전상 이유로 출발 약 15분 전, 그것도 열차 도착 직후에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날 지역본부 건축처 소속으로 보이는 직원들이 교외선 통로를 보고 조금 당황한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아마도 모든 관계자들에게 전파된건 아닌 듯 하네요.

 

 

 

복잡한 전철선 너머로 보이는 무궁화회송 H2616열차

사실 의정부에 종착한 교외선 무궁화호가 오전~오후 사이에는 어디서 대기할지 궁금했습니다.

과거 경원선 통근열차는 운행 전 청량리역에서 출고해 동두천 방향으로 회송했기 때문이죠.

 

추측해보면, 무궁화 2603열차로 의정부역에 종착한 열차는 무궁화회송 D2603열차로 청량리에 내려가고,

오후에 무궁화회송 H2616열차로 출고해서 의정부로 오는 행로로 보여지는 듯 합니다.

경원선 의정부 이남 구간에서 출고열차를 목격한 지인이 귀띰해주기도 했습니다.

 

 

 

의정부역에 도착하는 무궁화회송 H2616열차

[철도영상] 의정부역으로 도착하는 교외선 무궁화호ㅣH2616열차 (2025.01.12)

여하튼, 구도가 조금 애매하지만 회송열차를 렌즈에 담는데 성공했습니다.

잠시 보러온거라 카메라가 없는 등 아쉬운게 많지만 기회는 많으니까요.

 

 

 

서울을 향해 떠나가는 인천행 전동열차

무궁화호와 교차해 떠나는 전동열차를 보고, 의정부역 승강장으로 돌아갔습니다.

 

 

 

의정부역에서 대기 중인 무궁화호 2616열차

승강장으로 내려가니 이미 열차가 도착해 대기 중이었습니다.

승강장 방향 통로를 바로 연것은 아닌지, 몇 분 후에야 사람들이 승강장으로 내려왔습니다.

 

 

 

4403호 디젤전기기관차

교외선 무궁화호 편성에 배정된 기관차는 EMD GT18B-M(4400호대) 디젤전기기관차입니다.

4401~4406호(총 6량)이 차출되었고 앞뒤에 각 1량씩 총 2량이 연결됩니다.

 

 

 

아직 완전체라고 하기에는 애매하지만

무선총괄제어 기술을 사용해 앞뒤 기관차를 총괄제어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정으로 그러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선두 차량만을 사용해 운행하고, 뒤쪽 차량은 시동을 켠채 끌려가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2019년 서울~문단(북한 철도성) 간 운행된 임시열차도 이런 방식으로 운행했습니다.

(문단역에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기 곤란했기 떄문에 그렇게 되었다)

 

 

 

DMZ-Train 이후 새로이 탈바꿈한 의정부역 5, 6번 승강장과 무궁화호 행선판

교외선의 일부 역은 재건축을 했거나 새 승강장을 올렸지만 의정부역은 크게 바뀐 점은 없었습니다.
과거 경원선 DMZ-Train이 정차했던 저상 승강장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죠.
다만 지주식 역명판과 각종 안내시설물, 베리어 프리(BF) 인증을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이 추가되었습니다.

과거 텅 비어있거나 디젤동차가 서 있는 장면을 본 저로서는

무궁화호 행선판을 단 밝은 색채의 객차를 보니 뭔가 묘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교외선 전용도색을 한 리미트디자인 객차 2량과 유선형 발전차가 연결

교외선 무궁화호는 전용 도색을 한 기관차-발전차-객차 조성으로 되어있습니다.

한국철도에서 비교적 최신에 제작된 리미트디자인 객차(이른바 '신형 무궁화호 객차')가 투입되고 있습니다.
휠체어석과 방송실을 갖춘 객차(전산상 '장애자차') 1량과 일반실 객차 1량이 1조로 운영되고 있죠.
장항선 새마을호(이른바 '리마을호')와 여러 관광열차로 차출된 와중에도 교외선에 투입할 객차를 모으는데 성공한 모양새입니다.

1990년대 말~2000년대 초까지 제작된 이른바 '유선형 발전차'가 투입되고 있는데,

무궁화호 이하 열차에 대응하는 200kW급이네요.
새마을호용으로 제작된 300kW급은 남은 차량이 n량에 불과해 보면 로또를 사도 좋을 만큼 되었습니다.

 

 

 

양쪽에 기관차가 연결된 보기 드문 조성

앞서 언급했듯 기관차가 양쪽에 연결(조성) 된 형태이기에,

진행 방향 뒤쪽으로 가도 기관차가 있는 묘한 장면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총괄 제어 또는 (무화)회송하는 기관차는 맨 앞쪽 기관차(본무기관차)의 뒤쪽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꽤나 보기 드문 장면입니다.
과거 경북선, 경전선 등에서 급경사를 극복하기 위해 맨 뒤에 보조기관차를 연결해 밀어주고는 했습니다.

 

 

 

4404호 디젤전기기관차

진행 방향 뒤쪽에는 4404호 디젤전기기관차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대곡역에 도착한 후 의정부역으로 되돌아갈 때는 이 기관차가 맨 앞쪽이 됩니다.

아래는 2025년 1월 당시 교외선 무궁화호 제2편성의 조성 정보입니다.

교외선 무궁화호 제2편성 조성정보 (2025.01 기준)
◀ 의정부·송추
 
 
 
장흥·대곡 ▶
4404
99416
10142
12603
4403
디젤기관차4400대
발전차고속일반용
무궁화장대형장애자차
무궁화장대형보통실
디젤기관차4400대
EMD GT18B-M
2002년식
유선형 발전차
2001년식
무궁화호 리미트
초기형 장애인 객차
2001년식
무궁화호 리미트
초기형 객차
EMD GT18B-M

 

진행 방향 뒤쪽에는 4404호 디젤전기기관차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다소 특이했던 도색은 천장까지 모두 칠해져 있었다

교외선 무궁화호는 관광열차가 아니지만 특별 도색(래핑)을 한 채 운행되고 있습니다.
베이지색의 바탕에 금색과 민트색의 띠, 그리고 짙은 갈색이 조화를 이루는 듯한 느낌입니다.
특히 민트색 도장은 천장까지 칠해서 밝은 인상을 주고 있네요. 다니다 보면 매연에 더러워지겠지만…

다양한 색과 패턴을 사용하고 있어 모형 쪽에서는 구현하기 까다롭겠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4번선에 안전문(PSD)이 설치되고 있어 머지않아 사라질 풍경

이 정도까지만 교외선 무궁화호를 둘러봤습니다.
이제 전동열차를 타고 한 정거장 위로 올라갑니다.

참고로, 촬영 당시 저상홈 측의 4번선에는 안전문(PSD, 스크린도어)이 설치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풍경도 머지않아 사라지겠네요.

 

 

 

경원선 가능역

한 정거장 앞의 가능역에 도착했습니다.
여러모로 바람도 많이 불고 추웠던 기억이 나네요.

 

 

 

경원선과 교외선이 갈라지는 분기점

가능역구내에 경원선과 교외선이 갈라서는 분기점이 있기 때문에 이곳을 택했습니다.
좌측이 경원선 방면의 선로, 오른쪽이 경원선 전철입니다.
경원선 측에는 전차선이 없고 멀리 장내신호기도 보입니다.

가능역구내의 교외선 선로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해볼까 합니다.

 

 

 

 

[철도영상]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역의 소요산행 전동열차ㅣK986열차 (2025.01.12)

가능역에 도착하는 소요산행 K986열차

또한 교외선이 가능역구내를 지나고 있어 곡선을 도는 열차를 찍을 수 있겠다는 기대감도 있었습니다.
추위에 벌벌 떨면서 무궁화 2616열차가 의정부역을 출발하기를 기다립니다.

 

 

 

가능역 측선을 따라 들어오는 무궁화호 2616열차

이윽고 의정부 발 대곡행 무궁화호 2616열차가 가능역을 통과했습니다.
당초 의도했던 바깥쪽 선로가 아닌 경원선 승강장에 붙어서 통과했습니다.

 

 

 

교외선분기를 지나 교외선에 진입하는 무궁화호 2616열차

2616열차는 느릿느릿 교외선분기를 지나 교외선 구간으로 진입했습니다.
고가를 내려가면서 출력을 한껏 높여 달려가더군요.

열차의 맨 뒤에 켜놓는 '뒷표지'는 기관차의 전조등으로 갈음한 것 같습니다.
EMD GT18B-M(4400호대)이나 GT26CW-2(71~7500호대)에는 붉은 '후미등'이 없으니까요.

 

 

 

[철도영상] 교외선 운행재개 다음 날, 의정부의 교외선 무궁화호ㅣ2616열차 (2025.01.12)

이렇게 약 20여 년 만에 교외선을 달리게 된 무궁화호와의 첫 만남이 끝났습니다.

이날 이후 "교외선 무궁화호를 타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현실은 시궁창이었고,

결국 2월이 되어서도 타보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나면 타봐야겠다는 다짐을 반복하면서 마무리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3.01.
ⓒ2025, Mirae(wmiraew)

 

본 게시물에서 별도 출처가 명시되지 않은 글과 이미지(영상)의 저작권은 Mirae(wmiraew)에게 있습니다.

728x90